부채가 늘어나면 그에 대한 부실채권의 절대액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만약 경제가 침체되고 고금리로 채무자의 여건이 더 어려워 지면 부실채권의 비율이 높아질 것이다.
우리나라 현재 국가의 총부채는 6,000조원을 상회하고 있다.
지난 해 국제결제은행(BIS) 집계에 따르면 한국의 2023년 6월 말 원화 기준 가계, 기업, 정부의 부채는 5,956조9572억원에 달한다. 가계 부채가 2,218조3581억원, 기업 부채는 2,703조3842억원, 정부 부채는 1,035조2149억원 등이다. 국내총생산(GDP)의 2.7배를 넘어선 규모다.
가계부채로 국한하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가계부채를 가진 나라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4%로 미국의 76%이고 일본의 59.7%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문제의 심각성은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높아진 나라가 OECD 회원국 중 한국 뿐이라는 점이다. 조선일보 지난 해 12월 22일자 기사는 다른 나라들과 달리 한국만 역행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Princeton 대학의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계부채가 GDP 대비 60%를 넘어서면 경제 성장률이 하락하고 불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우리 나라 한국은행도 유사한 연구결과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이 80%를 넘으면 성장률이 낮아지고 경기 침체 발생 확률도 높아진다는 게 학계 정설이다. 우리 나라는 104%를 상회하고 있는 중이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11월 30일 발표한 ‘2023년 9월말 국내은행 부실채권 현황’에 따르면 9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0.44%다. 총 부실채권 규모는 11조5천억 원으로 직전 분기 말보다 1조 원 늘었다. 부실채권 비율 0.44%는 예전에 비해 조금 높은 상태이지만 상승 추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은행은 부실채권(NPL)을 대손상각, 부실채권 매각, 담보처분, 여신정상화 등을 통해 정리하며 건정성을 관리한다.
헌데 지난 한해 은행권에서 매각한 NPL이 5조원에 달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이 규모는 전년도의 두배에 달하는 양이다. 기본적으로 은행권의 신규 부실채권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지만,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부실채권 매각에 나선 결과 규모가 더 늘어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비즈워치 1월 10일 기사에서 “작년과 재작년에는 평소 특별한 문제가 없을 때 정상적으로 나와야 할 NPL도 나오지 않았다면 작년 2분기부터는 눌려 있던 것들이 수면 위로 나오면서 신규 부실채권이 다시 늘어난 경향이 있다”라고 보도하고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부실채권의 증가라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런 가운데 NH농협은행이 연체율 관리를 위해 올해 1분기중 500억원 이상의 부실채권(NPL·고정이하여신) 매상각을 계획 중에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저축은행의 경우는 어떨까? 사실 부채에 대한 경고신호는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상황이 더 정확할 수 있다. 당연히 시중은행보다 신용도가 낮은 곳에 대출이 이루어 짐으로 부실채권비율이 높은 것이 정상이다. 하지만 비율자체가 상승하고 있다면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난해 12월 25일 한국신용평가가 발간한 ‘저축은행 업계 사각지대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저축은행 47개사의 부동산 PF 관련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1.3%에서 올해 6월 말 6.5%까지 약 5배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이란 은행이 보유한 여신 중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을 뜻하며, 바로 부실채권이라는 말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의 부실채권 비율 역시 악화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3분기 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곳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평균은 0.85%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0.43%)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이다. 가장 높은 부실채권 비율을 기록한 은행은 토스뱅크로 1.27%이다. 0.41%로 시중은행과 비슷한 수치이며 다은 인터넷 뱅크에 비해 낮은 부실채권 비율을 유지했지만 1년 전보다 0.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CEO스코어데일리는 1월 7일 기사에서 “문제는 부실 대출이 증가하면서 인터넷은행의 잠재 부실 위험도 커졌다는 점”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3개월 미만 연체돼 부실 자산에 포함되진 않지만 부실 가능성을 가늠하는 요주의여신이 1년간 205%나 늘었다는 것이다.
신용카드의 부실채권이라고 할 수 있는 연체액의 증가에 대한 보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월 9일자 데일리 한국 기사에 의하면 지난 해 신용카드 연체액이 2014년 이후 최대 규모인 2조원을 넘어섰다고 한다. 기사는 20년 전 카드 대란이 되풀이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9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8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우리·하나·비씨카드)의 1개월 이상 신용카드 연체 총액은 2조516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