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누구라도 돈을 발행할 수 있다. 중세 프랑스에서는 봉건영주가 화폐를 찍었다. 지역화폐가 일찌감치 존재했다는 말이다. 미국에서는 1837년 시작된 자유은행시대(Free Banking Era)에 주립은행뿐 아니라 다른 민간은행(free bank)도 주정부가 발행한 채권을 담보로 민간 화폐를 자유롭게 찍어낼 수 있었다. 자유은행시대가 오래가지는 않았지만, 이런 방법이 아니라도 은행은 신용창출을 통해 오늘날에도 돈을 만들어 낸다.
실제로 이 세상에 유통되는 모든 돈 중에 국가가 발행한 돈은 단 1%에 불과하다. 기업과 투자은행, 증권회사도 수많은 종류의 돈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돈이 필요한 기업가는 은행에 가서 돈을 빌려 전체 사회에 돈이 더 많이 돌게 하기도 하지만, 스스로 화폐를 발행하기도 한다. 그들이 발행하는 돈을 우리는 주식과 채권이라고 부른다. 기업 입장에서는 부채이며, 돈을 빌려주는 사람 입장에서 보면 주식이며 채권이다. 이런 증권도 일종의 돈이다.
물론 돈이라고 해서 모두 같지는 않다. 기본적으로 유동성과 불확실성에서 차이가 난다.
관련기사
[참 쉬운 NPL 경제학] 담보부 NPL이 무척이나 흥미로운 ABS인 까닭
[이면희의 참 쉬운 NPL 경제학] “부동산 담보부 NPL은 흥미로운 ABS가 된다” [땅집고] 세상 누구라도 돈을 발행할 수 있다. 중세 프…